LG유플러스
LG유플러스, 국내최초 LTE 소형기지국 ‘피코셀’ 상용화
2013.02.21LG U+(부회장 이상철 / www.uplus.co.kr)가 국내 이동통신 사업자 최초로 LTE 기반 피코셀(Pico-Cell)을 개발하여 LTE 주파수 대역에 피코셀을 구축, 무선 데이터 트래픽 폭증에 효율적으로 대처키로 했다.
세계최초로 LTE 전국망을 서비스한 LG U+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LTE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지난해 7월 멀티캐리어(Multi Carrier)를 상용화한데 이어 12월에 세계적 통신장비 업체인 화웨이를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하고 LTE 피코셀 개발을 진행하여 왔다.
피코셀은 반경 100~200m에 있는 200명 내외의 가입자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소형기지국으로 LTE 네트워크 용량을 보강할 수 있어 대형빌딩과 쇼핑센터, 번화가 등 트래픽 집중지역에서LTE 서비스 품질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.
또한 피코셀은 수용력에 비해 장비 크기가 작고 (기존 중계기 대비 1/3 크기), 매크로 기지국 대비 저출력으로 운영 가능한 친환경적인 장비이며 운영비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.
전송범위가 10m에 불과하고 20명 내외의 소규모 가입자만을 수용할 수 있는 펨토셀(Femto-Cell)과 달리 피코셀은 커버리지가 넓고 수용력이 높은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.
한편 LG U+는 강남, 신촌 등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데이터 집중지역, 중심상권 및 인구밀집 지역을 대상으로 올해 LTE 피코셀을 본격 구축하고 빠른 시일내 전국에 걸쳐 확대, 트래픽 증가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.
이에 따라 LG U+ LTE 가입자는 실내/외에서 LTE 체감속도 향상은 물론 유튜브와 같은 대용량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마음껏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.
LG U+ SD본부 최택진 기술전략부문장은 “매크로 셀만으로는 급격 하게 증가하는 LTE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가 어렵다”며 “LG U+는 매크로 셀 뿐만 아니라 피코셀과 같은 소형기지국을 병행 구축하여 안정적인 LTE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”고 밝혔다.
세계최초로 LTE 전국망을 서비스한 LG U+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LTE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지난해 7월 멀티캐리어(Multi Carrier)를 상용화한데 이어 12월에 세계적 통신장비 업체인 화웨이를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하고 LTE 피코셀 개발을 진행하여 왔다.
피코셀은 반경 100~200m에 있는 200명 내외의 가입자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소형기지국으로 LTE 네트워크 용량을 보강할 수 있어 대형빌딩과 쇼핑센터, 번화가 등 트래픽 집중지역에서LTE 서비스 품질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.
또한 피코셀은 수용력에 비해 장비 크기가 작고 (기존 중계기 대비 1/3 크기), 매크로 기지국 대비 저출력으로 운영 가능한 친환경적인 장비이며 운영비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.
전송범위가 10m에 불과하고 20명 내외의 소규모 가입자만을 수용할 수 있는 펨토셀(Femto-Cell)과 달리 피코셀은 커버리지가 넓고 수용력이 높은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.
한편 LG U+는 강남, 신촌 등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데이터 집중지역, 중심상권 및 인구밀집 지역을 대상으로 올해 LTE 피코셀을 본격 구축하고 빠른 시일내 전국에 걸쳐 확대, 트래픽 증가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.
이에 따라 LG U+ LTE 가입자는 실내/외에서 LTE 체감속도 향상은 물론 유튜브와 같은 대용량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마음껏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.
LG U+ SD본부 최택진 기술전략부문장은 “매크로 셀만으로는 급격 하게 증가하는 LTE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가 어렵다”며 “LG U+는 매크로 셀 뿐만 아니라 피코셀과 같은 소형기지국을 병행 구축하여 안정적인 LTE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”고 밝혔다.